기독교인은 부당한 비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2024/07/18)
-존 스톤스트리트/팀 패짓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스크립트
(1) 한국어 오디오: https://youtu.be/jmjGQT-6qTk
(2) 번역 스크립트:
오늘 7월 18일은 기독교 역사에서 암울한 날이다. 서기 64년 오늘, 로마의 대화재로 도시의 3분의 2가 잿더미로 변했다.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에 따르면, 불에 잘 타나는 소재가 밀집된 도시 일부에서 불이 시작되어 강풍에 의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후 일주일 반 동안 불타버렸다고 한다. 악몽 같은 일이었다.
타키투스의 글이다.
"불길은 도시의 평지를 먼저 통과한 다음 언덕으로 올라갔고, 다시 그 아래 모든 곳을 황폐화시켰다. 모든 예방 조치를 뛰어넘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불길은 옛 로마의 특징인 좁고 구불구불한 통로와 불규칙한 시가지를 완전히 불살라 버렸다."
그는 비명을 지르는 여성, 무기력한 아이들, 당황한 군중이 눈앞의 모든 것을 짓밟는 모습을 묘사했다.
화염의 끝이 공포의 끝은 아니었다. 당시 황제는 부도덕하고 기독교인에 대한 증오로 악명이 높았던 네로였다. 많은 로마인들은 네로가 불에 탄 도시를 자신의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모습과 “로마가 불타는 동안 조작이 있었다”는 소문에 의심을 품고 네로가 직접 불을 낸 것이 아닌지 의심하기 시작했다.
이런 소문을 막기 위해 네로는 기독교인들을 비난했다. 왜 안 그랬을까? 기독교인들은 이상했으니까... 그들은 살을 먹고 피를 마시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남편을 “형제”라고 부르고 아내를 “자매”라고 불렀다. 그들은 무신론자처럼 신들을 부정했다. 그들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났으며 언젠가 영광스럽게, 그리고 가장 적절하게는 복수를 위해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때까지 대부분 로마 당국은 신자들을 방치했었지만, 네로는 그들이 쉽게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후 사도 베드로와 바울은, 무명의 수많은 다른 기독교인들과 함께 운명을 맞이했다.
기독교인들이 공공의 재난으로 인해 비난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 분명 마지막도 아닐 것이다. 기독교인은 여러 문화권에서 인기 없는 소수 집단으로 여겨져 왔으며, 여러 사회에서 발생한 각종 재난의 원인으로 꾸준히 비난을 받아왔다. 네로의 공격으로부터 1세기 반이 지난 후 북아프리카의 기독교 작가 테르툴리아누스는 “티베르강의 수위가 너무 높아지거나 나일강의 수위가 너무 낮아지면 해결책은 항상 기독교인을 사자밥으로 주는 것”이라고 병적으로 비꼬았다. 410년, 이교도 작가들은 로마가 부도덕한 기독교를 위해 신을 버리지 않았다면 독일 부족이 로마를 약탈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비난에 히포의 어거스틴은 그의 걸작인 『하나님의 도성』을 써서 반박했다.
서양 문명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인 『하나님의 도성』은 수 세기가 지난 지금도 목회자, 철학자, 역사학자 모두에게 읽히고 있다. 어거스틴은 이 책에서 기독교인을 향한 얄팍한 비방에 대해 철저하게 변호했다. 그는 순수하고 이교도적이었던 로마의 과거 시절 일어난 자연재해와 군사적 재앙, 심각한 도덕성의 실패를 예로 들었다.
이러한 실례를 통해 그는 기독교인들이 어떻게든 인생의 질을 악화시켰다는 비판을 무마했다. 오히려 성경적 이상으로 사회에 미친 영향이 상황을 더 좋게 만들었다.
오늘날 기독교인들도 비슷한 비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사자밥으로 던져지지는 않지만(적어도 서구에서는), 고대에 사용된 비유와 유사한 기독교인에 대한 적대감의 저류가 분명하고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기독교인들은 빈곤의 만연,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과학 기술의 퇴보, 온갖 종류의 사회적, 정치적 억압의 책임이 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우리는 어거스틴이 했던 것과 거의 동일한 답을 줄 수 있다. 억압, 빈곤, 군사, 자연재해는 인류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다.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시대와 장소에서는 이런 일들이 흔하다. 그러나 기독교가 들어온 곳에는 병원, 대학, 기술 혁신, 자유,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특히 강조한다.
최근 기독교가 세상에 가져온 좋은 점은 (아직은!) 비기독교인 역사가인 톰 홀랜드의 <도미니언>과 성공회 전도사 글렌 스크리브너의 <우리가 숨 쉬는 공기> 같은 책에서 묘사되고 있다. 이 작품들은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 세상이 얼마나 나빴는지, 그리고 우리가 선하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기독교에도 불구하고, 아니 기독교 때문에 얼마나 많이 생겨났는지를 상기시켜 준다. 오늘날 부당한 비난에 직면한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고 용기를 얻어야 한다. 기독교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이 참되고 선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