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이 왜 위기에 처해 있는가? 1. 영어 원문 스크립트 및 오디오 서비스 https://www.breakpoint.org/why-are-men-in-crisis/
2. 한국어 번역 스크립트 및 음성 서비스 (1) 음성 서비스 : https://youtu.be/B8dIr_ewKhg (2) 번역 스크립트 :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해설자는 "남성 공원(Mark Park)(a)이란 남성들을 위한 강아지 놀이공원 같은 곳이라서…남성들이 이 곳에서는 여자친구와 아내 외에도 친구를 사귀고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고 달콤하게 이야기했다. 약 1년 전 방송된 이 이야기는 불행한 현실을 가리킨다. 남성들은 목적과 관계, 유용성의 상실로 위기를 겪고 있다.
2021년 1월 가족문제연구소(b)의 보고서는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전 학제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을 능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주요 원인이 여학생들이 잘하고 있기 때문은 아니다. 그 이유는 워싱턴 포스트의 앤드류 양(c)이 썼듯이, "모든 지역과 민족 집단에서 수년간,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소년들과 남성들의 (성과가) 나빠졌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아버지가 없는 가정(d)은 급증한 반면 남성 소득의 중간값(e)은 감소했다. 남자 아이들은 학교에서 D와 F학점을 받는 아이들의 70%를 차지하며(f) ADHD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두 배나 높다(g). 소년원에서 시간을 보내는 비율도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 대비 5배 이상 높다(h). 향후 5년간 평균적으로 남학생 한 명당 여학생 두 명이 대학을 졸업할 것이다(i).
뉴욕대 마케팅 교수 스콧 갤러웨이는 최근 빌 마허의 쇼 리얼타임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계에서 가장 불안정한 국가들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외롭고 무일푼인 남자들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j) 하지만 현대 문화가 만들어내고 있는 유형의 사람이 정확히 바로 그러한 사람들이다.
이것은 사교성에 있어 극적인 위기와도 일치한다. 앤드류 양(k)이 지적했듯이, "약 3분의 1의 남성들이 실업자이거나 노동력에서 제외되어 있다." 그 결과 "연인과 사는 18~34세 미국 남성보다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남성들의 수가 더 많다"고 말했다. 갤러웨이(l)는 훨씬 더 놀라운 통계를 언급했는데, 최근 1년간 30세 미만의 남성 3명 중 1명 미만이 성관계를 가졌다는 점이다.
충격적이긴 하지만, 위의 마지막 통계는 주로 성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다. 오히려 더 심각한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다. 젊은 남성들이 실제로 살아있는 사람들과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역사적으로 그들의 관심을 끌었던 종류의 유대감조차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도대체 왜?”이다.
마허(m)는 디지털 기술 때문에 남성들이 실제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갤러웨이도 다음과 같이 동의했다(n). 특히 틴더(Tinder) 앱은 비디오 게임 중독과 포르노가 이미 팔리고 있다는 거짓말을 강화하면서 '재앙'이 되어 왔다.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행복에 노력이나 희생이 필요하지 않다고 암시한다. 그냥 화면 하나면 족한 것이다.
이를 앤드류 양은 이렇게 표현했다.(o) "많은 남성들로부터 들은 간단한 진실은 이렇다. 우리는 필요한 존재가 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스스로를 건설업자, 군인, 노동자, 형제, 즉 우리보다 더 큰 무언가의 일부라고 상상한다. 우리는 게으름을 끔찍한 것으로 본다."
여기서 우선 풀어야 할 한 가지 생각은 젊은 남성의 성공은 제로섬 게임이며, 젊은 남성의 성공을 돕는 것은 여성의 권리를 희생시키는 것이라거나, 여학생의 성공은 남학생의 낙제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보다 더 진실과 거리가 먼 생각은 없다. 자신감 있고 이타적인 남성으로 자란 소년들이 자동적으로 미래의 최고의 남편과 아버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특히 아버지가 없는 비중이 높은, 부정적인 성격을 가진 다른 남성들이 공격적이 되거나 비행에 빠지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준다(p).
또 다른 잘못된 생각은, 여성들이 스스로를 성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만들지 못했거나 불안정한 남성들이 "필요한 존재라고 느끼게끔 만들지 못했다"고 여성들을 비난하는 것이다. 이 비난에 대한 데이터는 압도적으로 명확한 사실을 이야기한다. 첫째, 남성에게 자발적인 성적 파트너가 부족하지 않다(q). 둘째, 청년들의 성공은 더 넓은 사회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 시작된다. 여자친구의 부재가 문제가 아니라, 아버지의 존재감이 부족한 게 문제이다.(r)
기독교인들은 성별 차이가 주는 유익과 관련된 측면을 없애고, 산만함과 중독으로 남성을 달래며, 가정을 해체하면서 무한한 성적 자유를 약속하는 세상에 대한 해답을 가지고 있다. 그 해답의 절반은 성별 차이를 무시하거나 남용하지 않고, 남성과 여성이 각자 어떤 존재로 창조하고 부르셨는가에 관한 하나님의 독창적이고 선한 계획이다. 나머지 절반의 해답은 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것으로, 우리의 죄로 인해 깨어진 것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께서 대속하시는 사역에는 남성성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분의 삶은 여성을 존엄하게 여기고(s), 남성성의 과잉이 초래하는 최악의 상황을 억제시키며(t), 우리 자신보다 더 큰 것을 위해 살고 죽는다는 것(u)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표한다. 그리고 그분은 배경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을 결코 실망시키지 않으시는 아버지의 품으로 초대하신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