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10만 달러짜리 의료 기기와 윤리,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

Writer's picture: Sang LeeSang Lee

0만 달러짜리 의료 기기와 윤리,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

2024/12/11- 존 스톤스트리트/자레드 헤이든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스크립트

(1) 한국어 오디오 : https://youtu.be/1fxw68WKQAU


(2) 번역 스크립트

과거 기수였던 마이클 스트레이트는

승마 사고로 허리부터 하반신이 마비된 지 5년 만에 10만 달러짜리 의료기기인 리워크 퍼스널 엑소스켈레톤 덕분에 다시 걷는 법을 배웠다. 이 기계는 사지를 지지하고 다리를 인공적으로 움직여 스트레이트가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지금까지 371,091걸음을 걸었다.

하지만 지난 여름, 작은 와이어가 느슨해져 기계가 작동을 멈췄다. 스트레이트는 회사에 기기 수리를 위한 기술 지원을 요청했지만, 5년이 넘은 기계는 수리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들었다. 충격을 받은 스트레이트는 경마 뉴스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하반신 마비 환자의 삶이 힘든 만큼 저 같은 사람에게는 (이런 조치가) 불공평하고, 더 힘이 듭니다...어떻게 5년이 지나면 10만 달러짜리 기계가 가치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믿기 어려운 일이죠."

다행히도 언론 보도를 계기로 회사는 방향을 바꿔 스트레이트의 보행기를 수리했다. 하지만 향후에도 수리해 주겠다는 약속은 하지 않았다. 스트레이트 같은 사람들은 기술자와 회사 정책의 자비에 의존한다.

다시 말해, 의료 및 기술의 기적(그리고 인공지능의 기적)에 대한 모든 약속에도 불구하고 사람과 관련된 요소는 여전히 남아 있다. C.S. 루이스는 명저 『인간 폐지』에서 기술 진보를 과대 포장하는 것에 대한 본질적 한계를 제시했다. 현대인의 자연 정복은 흔히 주장하는 것처럼 중립적이지 않다. 그의 글이다. "우리가 자연에 대한 인간의 힘이라고 부르는 것은 일부 인간이 자연을 도구로 삼아 다른 인간에게 행사하는 힘으로 밝혀졌다."

일부 인간이 가진 권력이 클수록 부패할 가능성도 커진다. "권력은 부패하고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액튼 경의 관찰은 권력이 정치적인 것이든 기술적인 것이든 상관없이 적용된다. 스트레이트에 따르면 '리워크'가 자사의 기계 수리를 거부한 것은 "나쁜 회사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한 한심한 변명"이었지만, 이 이야기에는 단순한 탐욕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 소비자 권리 옹호자의 말처럼 말이다.

"제품에 대한 제조업체의 관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넘겨주면 책임이 완전히 끝난다는 디스토피아적 악몽에 빠져들었다."

아무리 놀랍고 효율적이고 기적적인 기술이라도, 다른 인간과의 모든 상호작용과 거래는 기술적이든 아니든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이러한 도덕적 틀이 없는 기술 발전은 결코 진정한 돌봄을 제공할 수 없다. 대신 돌봄은 인간성의 새로운 정의에 맞춰 재정의될 것이다. 루이스는 이러한 정의는 "앞으로 '인간성'의 의미를 결정하는 작업에 몰두하기 위해 전통적인 인간성에서 자신의 몫을 희생한 사람들"로부터 비롯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모든 사람은 내재적 존엄성을 지니고 있다는 기독교적 신념은 현대 의료를 탄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의료가 수행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액튼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가톨릭 및 교회에서 운영하는 의료 시스템이 "더 높은 수준의 치료와 효율성을 제공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한다. 의학을 기독교 사상에서 분리하면 그에 따른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의료 기술도 마찬가지다.

의사와 마찬가지로 의료 기술 기업도 일종의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해야 한다. "첫째,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선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0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CGN TV 케이티 파우스트 인터뷰(레디온: 이홍렬 진행)

CGN TV 레디온 30편 (이홍렬 진행)에 작가 케이티 파우스트가 출연하여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13분37초 이후 부터 ) 30편 뉴스이슈, 스승의 날, 아이들은 정말 괜찮을까? 저자 대담 | 레디온 | CGNTV

태아가 복중의 메시아를 알아볼 때

태아가 복중의 메시아를 알아볼 때 존 스톤스트리트-2024/12/25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https://breakpoint.org/when-a-preborn-child-recognized.../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손주를 바라는 게 무엇이 문제인가?

손주를 바라는 게 무엇이 문제인가? 2024/12/23- 존 스톤스트리트/셰인 모리스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https://breakpoint.org/whats-wrong-with-wanting.../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Comentários


Post: Blog2_Pos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