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식료품 가게 주인의 비범한 용기
- Sang Lee
- Jul 20
- 2 min read
평범한 식료품 가게 주인의 비범한 용기
2025/04/16 - 존 스톤스트리트/티모시 패짓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스크립트
(1) 한국어 오디오 : https://youtu.be/wYeoKbGatrI
(2) 번역 스크립트 :
1945년 4월, 제3제국이 몰락하고, 수백만 명의 소련군이 동쪽에서, 그리고 영국과 미국의 군대가 서쪽에서 몰려드는 상황에서도 게슈타포는 여전히 반체제 인사들을 추적하고 있었다. 많은 독일인들은 그저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공장에서 일을 했어야 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공장 대신 최전선에 섰다. 그래서 독일인들은 노예 노동자를 수입했다. 대부분은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같은 동유럽 국가에서 왔지만, 독일인들은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에서 온 전쟁 포로와 민간인도 이용했다. 수천 명의 노예 노동자 중에는 가스실에서 탈출한 유대인들이 있었다. 탈출을 시도하는 사람에게 도움이나 위로를 제공한 독일인은 사형에 처해졌다.
프리츠 니어만은 영웅처럼 보이지 않았다. 에센의 한 식료품점 주인으로서, 중년의 그는 돈이 많지 않았지만, 연합군의 폭격으로 아직까지 피해를 입지 않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다. 더 중요한 것은, 그는 건실한 기독교적 양심을 가지고 있었다.
니어만의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크루프 제철소라는 거대한 산업 단지가 있었는데, 그곳의 공장장들은 수세기 동안 독일에 무기를 공급해 왔다. 이 집단은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기업에 속했고, 여러 세대에 걸쳐 독일의 확장을 지원했다. 제2차 세계대전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집권하던 가문의 수장인 구스타프와 그의 아들 알프레드는 유럽을 정복하기 위해 나치에게 필요한 총기를 기꺼이 팔아넘겼을 뿐만 아니라, 총기 제작에 필요한 노예 노동을 수용하기 위해 자신의 소유지에 수용소를 세우기도 했다.
당시 많은 독일인들처럼, 니어만도 공식적으로 기독교 교회에 소속되어 있었다. 그는 로마 가톨릭이었다. 그러나 그는 수천 명의 개신교와 가톨릭 신자들처럼 그 당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눈을 감거나 심지어 “독일 기독교인”과 같은 공모 조직에 가담하지 않았다.
크루프 공장에서 탈출한 네 명의 유대인 소녀들이 그의 집 앞에 나타났을 때, 그저 외면하는 것이 가장 쉬운 일이었을 것이다. 역사가 윌리엄 맨체스터에 따르면 "그들이 아파트 현관에서 처음 본 사람들은 제복을 입은 키 크고 날씬한 나치 친위대 장교 세 명이었다. 그 순간 소녀들은 인생이 끝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소녀들의 고통의 끝이었다. 니어만과 그의 아내는 소녀들에게 천천히 다가왔다. 두 사람 모두 따뜻하게 그들을 맞이해 주었다. 소녀들은 거리로 나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긱 방을 배정받았다."
니어만은 자신의 믿음과 그 믿음의 의미를 진지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에 소녀들을 돕는 용기 있는 선택을 했다. 그는 한때 잠수정 정장이었고, 후에 루터교 목사가 되어 히틀러를 비판한 마틴 니묄러를 존경했다. 니묄러는 반체제 활동으로 인해 나치 감옥에서 8년을 보냈다. 니묄러는 다음과 같은 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처음에 그들은 사회주의자들을 찾아왔고, 나는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사회주의자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 그들은 노동조합원들을 찾아왔고, 나는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노동조합원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 그들은 유대인들을 찾아왔고, 나는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마침내 그들이 나를 찾아왔을 때, 나를 대변해 줄 사람은 아무도 남지 않았다."
이 가톨릭 교도인 식료품점 주인은 그 루터교 목사가 감옥에 갖힌 사실에 분노했기 때문에 큰 위험을 감수했다. 결국 그가 구한 젊은 여성들은 연합군 진영에 도착했고, 나중에 미국으로 이주했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그들을 구한 그의 역할에 대해 이스라엘인들은 니어만 사후에 “이방인 중의 의인”이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평범한 식료품 가게 주인이었던 그는 기독교적 신념이 시험대에 올랐을 때 비범한 용기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본보기이다.
Comments